• 티스토리 홈
  • 프로필사진
    유니얼
  • 방명록
  • 공지사항
  • 태그
  • 블로그 관리
  • 글 작성
유니얼
  • 프로필사진
    유니얼
    • 분류 전체보기 (295)
      • Unity (17)
        • 게임 개발 (5)
      • Unreal (24)
        • 게임 개발 (20)
      • DirectX (36)
      • 코딩테스트 (91)
        • 프로그래머스 (25)
        • 백준 (66)
      • Google Workspace (1)
      • Programing (102)
        • C# (68)
        • C++ (24)
        • JavaScript (10)
      • 게임 서버 프로그래밍 (17)
      • Web (6)
        • 슈퍼코딩 (6)
  • 방문자 수
    • 전체:
    • 오늘:
    • 어제:
  • 최근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최근 공지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
# Home
# 공지사항
#
# 태그
# 검색결과
# 방명록
  • [JavaScript] JavaScript의 일급 함수, 일급 시민, 고차 함수
    유니얼:
    JavaScript는 일급 함수(First-Class Function)를 지원하는 언어로, 함수가 값처럼 취급됩니다. 이 특성 덕분에 고차 함수와 같은 강력한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급 함수, 일급 시민, 고차 함수의 개념과 JavaScript에서의 활용 사례를 소개합니다.1. 일급 시민(First-Class Citizen) 일급 시민(First-Class Citizen)이란, 함수가 다른 값과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을 말합니다. JavaScript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가능합니다:변수에 할당: 함수는 변수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함수의 인자로 전달: 함수는 다른 함수에 인자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 함수는 다른 함수에서 반환..
    • 2024-12-26 01:37:41
  • [JavaScript] JavaScript의 객체 리터럴, Optional Chaining, Map, Set
    유니얼:
    JavaScript에서 데이터를 정의하고 다루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객체 리터럴(Object Literal), Optional Chaining, Map, 그리고 Set은 각기 다른 특징과 장점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고, 활용 방법을 소개합니다.1. 객체 리터럴(Object Literal)객체 리터럴의 기본 개념객체 리터럴은 JavaScript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필요한 속성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const objectName = { key1: 'value1', key2: 'value2'};console.log(objectName.key1); // value1ES6의 개선된 객체 리터럴..
    • 2024-12-26 01:27:59
  • [JavaScript] JavaScript의 구조 분해와 스프레드 연산자
    유니얼:
    JavaScript는 구조 분해(Destructuring)와 스프레드 연산자(Spread Operator)를 통해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이 두 가지 기능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설명합니다.1. 구조 분해 할당(Destructuring)구조 분해 할당은 배열이나 객체의 값을 쉽게 추출하여 변수에 할당하는 문법입니다.1-1. 배열 구조 분해배열의 값을 원하는 변수에 간단히 할당할 수 있습니다.const arr = [1, 2, 3];const [x, y, z] = arr;console.log(x, y, z); // 1, 2, 3 특정 값 건너뛰기const arr = [1, 2, 3];const [first, , third] = arr;console.log(first, thi..
    • 2024-12-26 01:11:57
  • [JavaScript] JavaScript에서의 값과 참조, 객체 복사
    유니얼:
    JavaScript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복사와 동작 방식이 다릅니다.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의 차이점, 그리고 객체 복사에서의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코드 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JavaScript에서의 값과 참조, 객체 복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의 차이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은 크게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으로 나뉩니다.1-1. 원시 타입JavaScript에서 원시 타입에는 string, number, boolean, null, undefined, symbol, bigint가 포함됩니다.값 자체가 저장되고, 복사하면..
    • 2024-12-26 00:57:30
  • [JavaScript] JavaScript의 this 키워드
    유니얼:
    this는 JavaScript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어떤 함수가 호출되는 방식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되는 실행 문맥(context)을 나타냅니다. 이 글에서는 this의 개념, 동작 방식, 그리고 C# 같은 객체 지향 언어의 this와의 차이를 비교하며, 효과적으로 this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1. JavaScript의 this 키워드 설명 및 개요현재 실행 중인 코드의 실행 문맥(context) 을 참조합니다. 현재 실행 중인 코드의 실행 문맥(context)을 참조합니다.작성 시점이 아닌 실행 시점에서 값이 결정됩니다.함수 호출 방식에 따라 동적으로 값이 변경됩니다.JavaScript에서 thi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다양한 프로그래밍 패턴을 구현할 수 ..
    • 2024-12-26 00:37:30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스코프와 호이스팅: 개념과 작동 원리
    유니얼:
    JavaScript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코프(Scope)와 호이스팅(Hoisting)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변수의 접근 범위를 정의하는 스코프와, JavaScript의 독특한 변수 처리 방식인 호이스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1. 스코프(Scope)스코프는 변수나 함수가 정의되고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합니다. 특정 코드에서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지는 그 변수의 스코프에 의해 결정됩니다.스코프의 종류1. 글로벌 스코프정의: 함수나 블록 외부에서 선언된 변수는 글로벌 스코프를 가집니다.특징: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코드에서 접근 가능합니다.글로벌 변수는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사용하면 다른 코드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 권장되지 않습니다.예시:var ..
    • 2024-12-23 01:39:02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주요 특징과 이해
    유니얼:
    JavaScript는 웹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로, 강력하고 유연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JavaScript의 특징과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하이 레벨 언어JavaScript는 하이 레벨 언어로, 메모리를 직접 관리하지 않아도 됩니다.메모리 자동 관리: 가비지 콜렉션(Garbage Collection)을 통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를 자동으로 해제합니다. 개발자는 메모리 관리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 작성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성능 제약: 메모리를 자동 관리하는 특성 때문에 C/C++ 같은 로우 레벨 언어보다 성능이 다소 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JavaScript는 최신 엔진과 최적화 기술로 이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2. 인터프리터 언어J..
    • 2024-12-21 23:54:14
  • (2024.12.12(목요일)) 슈퍼코딩 (신입연수원) 3주차 Day 4 후기
    유니얼:
    SSR과 CSR 분석 및 비교1. SSR (서버 측 렌더링, Server-Side Rendering)SSR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서버에서 렌더링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렌더링된 HTML을 받게 되고,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서버는 해당 페이지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이 방식은 웹 페이지가 처음 로드될 때 클라이언트 측에서 별도의 렌더링 없이 즉시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해줍니다.장점:1, 빠른 초기 페이지 로딩: 서버에서 HTML을 미리 렌더링하여 전달하므로, 사용자는 페이지를 요청하자마자 콘텐츠를 빠르게 볼 수 있습니다.2, SEO에 유리: 서버에서 페이지를 렌더링하여 검색 엔진이 페이지의 콘텐츠를 쉽게 인덱싱할 수 있습니다. 이는 SEO 최적화에 큰 도움이 됩..
    • 2024-12-12 20:55:40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
[1] [2] [3] [4] [5] [···] [37]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목차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감사해요
    • 잘있어요

    티스토리툴바